이클립스에서 웹 프로젝트를 진행하다 IntelliJ로 프로젝트를 옮겨서 진행하게 되었는데, 이클립스에서와 달리 IntelliJ에서는 jsp를 변경할 때 자동으로 반영이 안 되어서 찾아보았다. 자동 반영이 안된다는건 자동 배포가 안된다는 것 같아서 서버 쪽 설정을 바꾸어 주었다. 1. Tomcat 설정 들어가기 구동중인 Tomcat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면 Edit Configuration으로 들어갈 수 있다. IntelliJ 위 쪽 메뉴에서도 당연히 가능 2. Edit Configuration 수정 해당 서버의 Edit Configuration으로 들어가서, Deployment 탭 클릭, 배포 중인 war exploded의 설정값을 바꿔주기 위해 연필 모양의 편집 버튼 클릭 3. director..
: SourceTree같은 형상관리 프로그램을 추가로 사용하지 않고, IntelliJ만을 이용해서 쉽게 Git과 연동하는 법에 대해서 설명 1. IntelliJ에서 github에 로그인해주기 IntelliJ를 시작 후, File 메뉴에서 Setting을 눌러준다. 그 후 GitHub를 검색하여 자신의 아이디(이메일형식)와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로그인 해준다. 계정이 알맞게 인증되면 다음과 같이 계정이 등록되게 된다. 2. GitHub에 등록된 레퍼짓을 IntelliJ에서 작업할 수 있도록 연동하기. VCS메뉴에서 Checkout from Version Control 메뉴 선택후 우리가 사용할 Git버튼을 클릭해준다. 그럼 다음과 같은 창이 뜨게 된다. 여기서 URL은 내가 가져올 레퍼짓 URL을 가져오면 ..
이 글은 jojoldu님의 과정을 보고 학습하며 작성한 글입니다. 좋은 글을 써주셔서 감사합니다! Using Language : Java8 Using Tools : IntelliJ, SourceTree, SpringBoot1.5.10, Gradle 부제 : 화면 제작 1. Handlebars의 정의 먼저, Handlebars란 서버 템플릿 엔진이라고 한다. 여기서 템플릿 엔진이란 동적 페이지 생성을 위해 필요한 기술로, 템플릿 엔진을 사용하게 되면 보다 간략한 표현을 이용해서 데이터를 가공하여 웹 페이지를 보여줄 수 있다고 한다. 장점으로는 기존의 HTML 보다 간단한 문법을 사용하고 같은 템플릿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재사용성이 높고 유지보수에 용이하다는 점이 있다. 2. Handlebars와 Intell..
이 글은 jojoldu님의 과정을 보고 학습하며 작성한 글입니다. 좋은 글을 써주셔서 감사합니다! Using Language : Java8 Using Tools : IntelliJ, SourceTree, SpringBoot1.5.10, Gradle 1. 도메인 코드 생성 src/main/java/com/udud/webervice/domain 패키지에 도메인 코드를 생성하기 위해 Posts.class파일과 PostsRepository인터페이스를 생성해준다. 폴더 경로가 버전에 따라 그룹이 src/java처럼 패키지를 모두 분리되어 보여주거나, 아래 그림처럼 . 으로 하위 경로를 표시하는 두가지 경우가 있는 것 같다. 이 Posts 클래스는 JPA와 밀접한 연관이 있는 클래스로, Posts.class의 코드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