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48x148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0zDdk/btqH4r3b9bT/GFAZ5j9PnMoiqPAhe3dFp1/img.png)
컨테이너 명령어 전체 컨테이너 확인하기 (구동 중 + 정지 중) docker ps -a 구동 중인 컨테이너 확인하기 docker ps 컨테이너 목록에서 원하는 항목만 확인하기 # docker ps --format # 아래 명령어는 Id와 Image, Command, Ports를 \t 탭간격으로 출력해서 보는 것 docker ps -a --format "table {{.ID}}\t{{.Image}}\t{{.Command}}\t{{.Ports}}" CONTAINER ID IMAGE COMMAND PORTS 1c07a324555e sample_v3_1:lastest "init" 0.0.0.0:3000->3000/tcp, 0.0.0.0:4444->4444/tcp 3456eab2a259 mariadb_v3_0 "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48x148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d0lltI/btqH3DvKYZ2/7P8vpM1FphGJZN3skeYkKK/img.png)
Docker 명령어를 정리해봤다. 정보 공유 겸 나도 다시 보기 위해! 이미지는 너무 귀여워서ㅎㅎ 도커 버전 확인 $ docker -v Docker version 1.13.1, build 64e9980/1.13.1 이미지 명령어 도커 다운로드 이미지 리스트 확인 $ docker images REPOSITORY TAG IMAGE ID CREATED SIZE sample_v3_1 lastest 1c07a324555e 11 days ago 1.72 GB mariadb_v3_0 lastest 3456eab2a259 4 weeks ago 471 MB sample_v3_0 lastest 654e1436ed83 4 weeks ago 1.61 GB 도커로 이미지 다운하기 ( 버전 생략 시, latest 옵션이 defa..
프로젝트를 관리할때 브랜치가 많을 경우 전체를 내려받기는 부담스럽다. 원하는 브랜치 하나만 clone하고 싶을때 쓰는 방법 git bash 열기 cd 명령어 사용해서 내려받고 싶은 로컬 위치로 이동 susan@DESKTOP-16LAR2H MINGW64 /c/Users $ cd yujin/OneDrive/ git 명령어 입력 git clone -b [브랜치명] --single-branch [git 주소] git clone -b v3.0 --single-branch yujin@git.yujin.vn:test/sample.git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48x148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orS8m/btqHQIwaAYm/yAOoCQKEXRFdTZMM5RYQAK/img.png)
자동으로 설정하기 1. 현재 서버 시간 확인 [root@ ~]# date 결과 예시 : 2020. 09. 01. (화) 06:37:59 UTC 2. 자동 시간 설정 [root@ ~]# rdate -s time.bora.net 3. 결과 확인 [root@ ~]# date 수동으로 설정하기 1. 현재 서버 시간 확인 [root@ ~]# date 결과 예시 : 2020. 09. 01. (화) 06:37:59 UTC 2. 원하는 날짜로 설정 ( YYYY-MM-DD ) [root@ ~]# date '+%Y-%m-%d' -s "2020-09-01" 2-1. 원하는 시간으로 설정 ( 오후 3시일 경우 15시로 입력 hh:mm:ss ) [root@ ~]# date +%T -s "15:38:20" 3. 결과 확인 [ro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48x148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vLK4S/btqDADfmUsX/xxwXQCHfD3gi0aFIsMGBq1/img.png)
이클립스에서 웹 프로젝트를 진행하다 IntelliJ로 프로젝트를 옮겨서 진행하게 되었는데, 이클립스에서와 달리 IntelliJ에서는 jsp를 변경할 때 자동으로 반영이 안 되어서 찾아보았다. 자동 반영이 안된다는건 자동 배포가 안된다는 것 같아서 서버 쪽 설정을 바꾸어 주었다. 1. Tomcat 설정 들어가기 구동중인 Tomcat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면 Edit Configuration으로 들어갈 수 있다. IntelliJ 위 쪽 메뉴에서도 당연히 가능 2. Edit Configuration 수정 해당 서버의 Edit Configuration으로 들어가서, Deployment 탭 클릭, 배포 중인 war exploded의 설정값을 바꿔주기 위해 연필 모양의 편집 버튼 클릭 3. director..
1. @RequestMapping이란? @RequestMapping은 모든 클래스와 메서드에 사용된다. 기본 url 경로를 지정해준다. 1. 클래스에서 @RequestMapping을 쓸 경우 @RequestMapping("/test/*") public class TestController{ } 클래스에서 /test/*를 경로로 줄 경우, test/로 시작하는 모든 url을 이 TestController에서 처리한다는 뜻 2. 메서드에서 @RequestMapping을 쓸 경우 @RequestMapping("/test/*") public class TestController{ @RequestMapping("/01") public void one(){ } } 메더스에서 /01을 경로로 줄 경우, /01로 시작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48x148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XNK0r/btqCl8IZZC1/EVJTugWaqGCvitKQ6ozk4K/img.png)
더보기 : eclipse에서 생성한 일반 프로젝트를 git repository에 연동하는 법 설명 1. eclipse에서 git에 올릴 프로젝트 우클릭 프로젝트 우클릭 → Team → Share Project... 2. 로컬에서 git Repository 위치 설정 Share Project.. → Create → Browse 주로 C드라이브의 git폴더에 원하는 폴더를 생성하고 설정해준다. 3. Current Location 과 Target Location 확인 후 Finish Current Location은 Eclipse에서 프로젝트를 생성한 위치, Target Location은 git repository를 만들 위치 4. git repo로 지정된 것 확인 처음과 다르게 프로젝트명 옆에 [gitRepo..
Mock 이란 ? 단위 테스트를 진행할때 실제 객체를 만들어서 사용하게 되면 의존성이 높아져 간단한 구현이 아닌 복잡한 구현을 하게 되었을 때 어려움이 있음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가짜 객체인 Mock을 사용해서 의존성을 끊고, 보다 간편하게 단위 테스트를 진행 할 수 있다. Mockito 란? JAVA에서 Mock을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프레임워크 선언 방법 Mock을 사용하지 않고 Repository를 모두 가져와서 사용하는 경우 public class RestaurantServiceTest { private RestaurantRepository restaurantRepository; private RestaurantService restaurantService; private MenuItemRe..